2024년 최저시급 및 연봉 실수령액 체크해 봅니다.
올해 2024년은 최저시급이 얼마일까요? 월급, 연봉까지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.
2024년 최저시급 및 월급
올해 최저시급은 9,860원입니다. 이는 작년 2023년 9,620원 대비 2.5%가 인상된 금액입니다. 최저시급으로 월급을 계산해 보면 하루 8시간 주5일 근무로 확인해보면 202년 최저월급은 2,060,740원이 됩니다. 그동안 최저시급은 8천원대로 유지되다가 2022년부터 9,160원으로 9천원대가 되었습니다.
2024년 최저연봉 실수령액
앞서 최저월급은 2,060,740원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. 이 월급으로 최저연봉을 계산해보면 12개월을 곱해 24,728,880원이 됩니다. 연봉을 계산했으니 실제로 내가 받는 실수령액이 가장 중요하겠죠? 4대 보험을 적용한 근로자는 국민연금 4.5%, 건강보험 3.545%, 요양보험 12.81%, 고용보험 0.9%, 근로소득세(간이새액)와 지방소득세 10%를 제하고 받는 것이 실수령액입니다. 최저월급으로 따져보면 약 1,843,480원이 되고 연봉 예상 실수령액은 22,121,760원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봅니다.
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채웠다면 쉬는 휴일을 유급처리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 주 5일제 회사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하루 8시간 주 5일 즉 주 50시간을 근무했다면 8시간에 해당하는 시급을 주휴수당으로 받게 되는 것입니다. 실제로 일은 주 5일을 일하지만 급여계산은 주 6일로 계산이 된다고 보면 간단합니다. 위에 계산된 실수령액에 본인의 근무 주휴수당까지 더하면 실제 실수령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매년 모든 물가는 오르는데 내 급여만 안 오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. 이것저것 제하고 나면 실수령액으로 많이 부족하다는 느낌도 지울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. 올해 2024년 최저시급과 연봉 실수령액 계산을 확인하여 내 월급 제대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이번 기회에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'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참기름 들기름 효능과 보관법 유통기한까지 한번에 정리 (0) | 2024.08.06 |
---|---|
청년월세지원 2024년 조건및 신청방법 지급일까지 한번에 확인 (0) | 2024.04.08 |
착한운전 마일리지 인터넷신청 및 갱신 방법 모두 알아보기 (0) | 2024.02.15 |
서울시 경기도 조부모 돌봄수당 대상 및 신청방법 한번에 알아보기 (0) | 2024.02.15 |
고정지출 줄이기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및 추천까지 한번에 비교하기 (0) | 2024.01.31 |
댓글